안녕하세요. 마이다스아이티 입니다.
임펠러 회전에 따른 유동해석은 2가지 방안으로 많이 진행합니다.
1) MRF(Moving Reference Frame) 해석
: 실제 요소망이 회전하지 않고 운동에너지만 반영하여 유동흐름을 발생.
2) 요소만 변형(Mesh Dormation) 해석
: 요소망 변형 위치와 고정위치를 구분하여 변형에 따른 유동흐름 발생.
교반기 내 임펠러 자체가 회전운동을 기반으로 진행되다 보니 움직이는 모사하는 것이 첫번째로 필요하며, 이는 위의 2가지로 구분됩니다.
여기에 간단하게 수면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단상유동으로 진행할 것인가? 수면의 변화를 고려한 다상유동으로 고려할 것인가? 로 구분됩니다.
옵션을 더 추가한다면 1) Over Flow 고려해서 질량보존 여부, 2) 요소망 접촉 or 중첩요소망 등 다양한 변수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.
고려할게 많아질 수록 해석의 난이도가 높아진다고 보시면 좋습니다.
첫번째 단계에서는 교반되는 상황에 대한 유동흐름 먼저 해석 한 후에 순차적으로 추가해야할 사항 고려해서 진행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1) MRF 해석 + 단상 유동 : 수면변화 고려하지 않고 회전운동에너지 고려한 유동흐름 분석
2) 요소망 변형 해석 + 단상 유동 + 중첩 요소망 : 수면변화 고려하지 않고 요소 회전에 따른 유동흐름 분석 (중첩요소망은 간단 정의)
내용확인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.